문재인 대통령이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는 강력한 이유 중 하나가 지진으로 인한 원전 사고의 위험성인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정작 전국 곳곳에 설치된 지진계측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안전을 위한 기본부터 바로 잡아야 한다는 얘기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도형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<br />[리포트]<br />행정안전부는 지진에 대비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 지진계측기를 설치해놨습니다. 주요 시설이 지진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고, 추가 대비책도 마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. <br /><br />하지만 지난 2년 반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행안부에 지진 자료를 보낸 계측기는 587대 가운데 16대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<br />[김도형 기자] <br />이곳 올림픽대교에도 지진계측기가 설치돼 있습니다. 하지만 서버 교체 작업 때문에 올해에만 넉 달 동안 제 역할을 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<br />실제 올 1월부터 7월까지 정상적으로 자료를 보낸 계측기는 전체의 28%에 그쳤습니다. 서울역에 설치된 계측기도 통신 문제로 이달 10일부터 현재까지 자료 전송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나마 수집된 자료도 지진 전문가들과 공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박순자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 />"자료가 실시간으로 행전안전부에 전송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요. 그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지도 못하고 있습니다." <br /> <br />행안부는 자료 공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지만 더욱 신속한 대응체제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김도형입니다. <br /> <br />김도형 기자 dodo@donga.com <br />영상취재 : 한효준 추진엽 <br />영상편집 : 배시열 <br />그래픽 : 손윤곤